※ 인스타그램으로 접속하신 경우, 로그인/회원가입 및 결제는 외부 브라우저를 통해 진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신청기간 : 2025.10.15(수)까지 

*워크숍 결제 후, 신청폼을 제출해 주셔야 참여 신청이 완료됩니다.
🖌신청폼 제출하기

 

호스트 소개

케이팝 하는 여자들

‘케이팝 하는 여자들’은 케이팝 팬의 다수가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여성 팬은 산업 구조와 문화 담론 속에서 소비의 주체로만 환원되는 것에 문제 의식을 갖고 시작된 프로젝트 입니다. 우리는 팬을 단순한 소비자가 아닌, 사랑과 의미를 만들어내는 주체로 바라보며, 함께 질문하고 사유하며 덕질의 언어를 다시 쓰는 실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한겨레에서 〈케이팝, 사랑과 탈출 사이〉 시리즈를 연재 중입니다.

 

워크숍 소개

〈쿠킹 케이팝 Cooking K-pop👩‍🍳〉

케이팝을 하다보면 불편하고 복잡한 감정들이 뒤섞이곤 합니다. 연이은 논란, 아이돌과 스태프들의 과중한 노동, 팬의 마음을 이용한 소비 구조 속에서 우리는 질문이 많아집니다.

워크숍에서는 그러한 마음을 ‘요리 재료’처럼 꺼내어 함께 다듬고 끓여봅니다. 누군가에겐 SNS의 짧은 메모였고, 누군가에겐 일기장의 거친 문장이었던 이야기들을 서로 나누며, 감정을 발효시키고, 생각을 양념해봅니다.

워크숍의 목표는 ‘잘 쓰기’가 아니라 ‘다르게 요리하기’입니다. 정확한 레시피나 완벽한 조리는 중요하지 않아요. 우리는 각자 다른 도마 위에서 다른 재료들을 가지고, 케이팝을 바라보는 저마다의 시선을 문장으로 옮깁니다. 음악과 비즈니스로만 설명할 수 없는, 우리가 몸소 겪고 감각해 온 ‘문화로서의 케이팝’을 다시 써봅니다.

이 작은 부엌에서, 함께 요리하고, 말하고, 쓰고, 나눠요.

* 격주 한 편의 조각글을 써 오는 과제가 있습니다.
* 학생 할인(30%) 및 현장 결제는 artsactsdays@gmail.com으로 문의해 주세요.

 

실라버스

1회차 | 부엌에 들어서며: 레시피를 나누는 시간
–  내용
함께 요리할 재료(주제)와 도구(태도)를 소개합니다. ‘문화’, ‘젠더’, ‘사랑’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앞으로 우리가 함께 다룰 주제를 소개하고, 각자의 시선을 나누는 오프닝 타임입니다.

– 활동
각자 준비해온 자료를 함께 보고, 이야기 나누기 활동
❶ 이끔이 3인 소개 및 워크숍 키워드 ‘문화’, ‘젠더’, ‘사랑’ 소개 (70분)
❷ 자료 준비 가이드 (10분)
➌ 참여자 자기소개 (40분)

– 과제
워크숍 신청서를 기반으로 자기 소개 준비해 오기

 

2회차 | 첫 번째 재료 ― 팬덤 문화 재료 손질 & 맛보기 (이끔이: 박다해)
–  내용
‘팬덤 문화’라는 이름의 재료를 썰고 볶습니다. 케이팝을 둘러싼 덕질/팬덤 문화 속에서 우리가 마주한 ‘불편한 감정들’을 함께 들여다봅니다. 타인을 끝없이 ‘대상화’하는 경험, 파묘와 사이버불링, 소비 구조 등 우리 자신, 또는 타인을 괴롭혔던 문화적 양상을 꺼내어 ‘어떤 질문을 품을 수 있을까?’라는 관점에서 탐색합니다.

활동
각자 준비해온 자료를 함께 보고, 이야기 나누기

– 과제
자신이 경험한 팬덤 문화의 모순/문제/질문을 디깅할 수 있는 자료 준비하기

– 참고자료
강신규, 『흔들리는 팬덤: 놀이에서 노동으로, 현실에서 가상으로』, 컬처룩, 2024
김윤하, 「오늘도 덕질을 한다, 스트레스와 함께」, 한겨레, 2025
김윤하, 「케이팝 헤비 팬덤의 짐, 라이트 팬이 나눌 수 있을까 [K콘텐츠의 순간들]」, 시사인, 2024
이시림, 디지털 시대의 한국 아이돌: 소통 플랫폼의 도입과 일상의 상품화, 문화산업연구 제23권 제4호, 2023
강보라, 서지희, 김선희, 20대 여성 팬덤의 감정 구조와 문화 실천 : 〈프로듀스 101 시즌2〉 팬덤을 중심으로, 미디어,젠더&문화 제33권 제1호, 2018

 

3회차 | 첫 번째 재료 ― 팬덤 문화 요리하기 (이끔이: 박다해)
–  내용
앞서 나눈 이야기와 준비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조각글을 써서 내 감정과 경험을 조리해봅니다. 정돈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짧은 문장, 메모, 단상 모두가 레시피의 일부가 됩니다.

활동
각자 써온 조각글을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누기

– 과제
2회차 때 나눈 이야기/자료를 토대로 조각글 써오기

 

4회차 | 두 번째 재료 ― 비밀소스 준비하기, 젠더 관점에서 디깅하기(이끔이: 구구)
–  내용
케이팝이라는 요리 안에 숨어 있는 비밀 소스, ‘젠더’를 함께 찾아봅니다. 케이팝에서 익숙하게 반복·수행되고 있는 조리법(남성성/여성성의 문법, 성별에 따른 수행성)이 나에게는 낯선 불편함이나 전복적인 쾌감을 불러 일으켰을 수 있습니다. 나의 젠더와 아이돌이 수행하는 젠더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요? 내가 느낀 젠더 감각을 함께 해석하고, 나는 왜 그 아티스트를 좋아했고, 그에게서 어떻게 나를 발견했는지 관찰하며 글의 소재를 발굴합니다.

활동
젠더에 대한 이끔이의 간략한 설명
각자 준비해온 자료를 함께 보고, 이야기 나누기

– 과제
젠더적 관점에서 내가 바라본 아이돌/콘텐츠/경험 디깅할 수 있는 자료 준비하기

– 참고자료
허윤, 무대 위의 남성성/들과 케이팝의 이상한(queer) 젠더 수행(performance), 한류 조사연구 아카이브, 2024
이진송, 왜 남성의 ‘여성화’는 웃음거리가 되는가, 경향신문 플랫팀, 2020
조소연, 이나영, 여덕’을 퀴어링하기: 젠더와 섹슈얼리티, 페미니즘과 퀴어는 팬덤과 어떻게 조우하는가?, 미디어,젠더&문화 제38권 제1호
스큅, 마노, 상근, 권지미, 김효진 저 외 7명, 『퀴어돌로지: 전복과 교란, 욕망의 놀이』, 오월의봄, 2021

 

5회차 | 두 번째 재료 ― 비밀소스 더하기, 젠더 감각 레시피 완성하기 (이끔이: 구구)
–  내용
앞서 모은 재료와 글감을 토대로 짧은 글을 직접 작성합니다. 서로의 글을 읽고 감상을 나누며, 케이팝 속 젠더 감각을 기록하는 다양한 방법을 함께 실험합니다.

– 활동
각자 써온 조각글을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누기

– 과제
4회차 때 나눈 이야기/자료를 토대로 조각글 써오기

 

6회차 | 세 번째 재료 ― 사랑의 불을 지피기 (이끔이: 유진)
–  내용
‘내 사랑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천천히 불을 올립니다. 나는 왜 이렇게까지 좋아하게 되었을까? 팬으로서의 감정은 어디에서 왔을까? 덕질의 욕망과 결핍을 돌아보며, 사랑의 형태를 성찰하며, 글쓰기 위한 재료를 정리합니다.

– 활동
각자 준비해온 자료를 함께 보고, 이야기 나누기

– 과제
‘사랑’ 관련해 디깅한 자료 준비하기

– 참고자료
이희주, ‘천사’도 노조가 필요한가요?, 한겨레, 2025
이희주, 미션: ‘천사’를 인간으로 되돌리기, 한겨레, 2025
아밀, 나는 왜 ‘최애’의 팬 사인회에서 괴로웠나, 한겨레, 2025
아밀, ‘소비자’가 아닌 팬으로, 나의 최애를 어떻게 사랑할까, 한겨레, 2025
김지효, 『인생샷 뒤의 여자들: 피드 안팎에서 마주한 얼굴 』, 오월의봄, 2023

 

7회차 | 세 번째 재료 ― 나의 사랑 요리하기 (이끔이: 유진)
–  내용
전 회차에서 탐색한 ‘사랑’의 이야기를 글로 정리해 봅니다. 기억 속 한 장면, 대화, 공연, 노래 등 내가 경험한 사랑의 순간을 기록하며, 팬으로서의 사랑을 나만의 언어로 써봅니다. 참가자들이 가져온 글을 함께 읽고 나누며, ‘팬으로서의 사랑’이 가진 공통성과 차이를 감각합니다.

– 활동
각자 써온 조각글을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누기

– 과제
6회차 때 나눈 이야기/자료를 토대로 한 편의 조각글 써오기

 

8회차 | 함께 차리는 식탁: 나의 위치를 맛보다
–  내용
팬덤 문화, 젠더, 사랑이라는 재료를 케이팝이라는 조리법으로 다루다 보면, 결국 ‘나’라는 존재와 마주하게 됩니다. 이번 회차에서는 워크숍을 통해 감각하게 된 나의 시선, 감정, 질문을 담아 정리한 한 편의 글을 바탕으로 이야기 나눕니다.
각자의 글을 낭독하고, 느낀 점을 나누며 마무리하는 작은 공유회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정제된 글보다 ‘내가 어떤 자리에서 무엇을 느꼈는가’를 중심으로, 이 워크숍을 통해 감각한 나와 세계의 관계를 함께 들여다 봅니다.

프로그램 정보

일정 및 장소

회차 : 총 8회

일정 :10월 18일(토), 10월 25일(토), 11월 1일(토), 11월 8일(토), 11월 15일(토), 11월 22일(토), 11월 29일(토), 12월 6일(토), 11:00 – 13:00

장소 : AAD SPACE (서울시 서대문구 홍연길 63-4 2층)

인원 : 최소 4명 – 최대 8명

안내 및 소통 방식 : 이메일, 구글 드라이브, 카카오톡 오픈채팅

준비물: 필기구, 노트 혹은 노트북

신청 방법 : 웹사이트 결제와 본문 상단 구글폼 작성

문의 : artsactsdays@gmail.com

 

이런 분들이 함께하면 좋아요!

  • 케이팝에 애정을 갖고 있는 분
  • 케이팝을 좋아하지만 잔잔한 죄책감에 괴로워하는 분
  • 케이팝에 대한 문제의식을 실질적인 해결을 위한 목소리로 전환하고 싶은 분
  • 건강한 케이팝 문화를 위한 고민을 케이팝 하는 여자들과 함께 나누고 싶은 분
  • 케이팝이 소비되는 방식과 산업의 흐름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분
  • 건강한 케이팝 산업을 고민하는 엔터 업계 종사자

 

유의사항 꼭 읽어주세요!

약속문, 환불규정, 유의사항, 기타문의는 아래의 노션페이지 참고 부탁드립니다.

노션 링크

커뮤니티

커뮤니티 글이 없습니다.


 

리뷰

아직 리뷰가 없습니다.

“쿠킹 케이팝 Cooking K-pop”의 첫 리뷰를 남겨주세요

쿠킹 케이팝 Cooking K-pop

케이팝 하는 여자들

4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