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련 작가

 

우먼즈랩탑 연성 작가

 


정아사란 작가

 

 


지희경 작가

 

 

월요살롱은 루이스 부르주아의 선데이살롱에서 영감을 받아 2016년부터 시작된 토탈미술관의 예술 모임 프로젝트입니다. 매주 월요일 오후 3시, 다양한 예술분야의 전문가와 애호가들이 토탈미술관에 모여 프로젝트 및 작업에 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월요살롱의 큰 장점은 한 사람의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준다는 것입니다. 선언적이거나 거대한 서사를 정제된 발표로 나누는 통상적 방식을 넘어, 프로젝트의 일련의 과정을 상세히 나누며 서로의 의견을 개진하는 라운드테이블의 형태를 지향합니다. 발표자는 게릴라성으로 공개되어 예술을 매개로 한 세렌디피티적 만남을 선사합니다.

 

10월 16일 월요살롱 소개

이번 월요살롱은 성북예술창작터와 함께합니다.

2023 성북 N 작가공모’ 기획전 연계
협력공간 매칭프로젝트 N-Networking X 월요살롱 1부

2023 성북 N 작가공모 기획전 《오소독스vs오소독스》가 열리고 있는 성북예술창작터는 2013년에 문을 열었으며 시각예술분야의 창작자를 지원·양성하고, 창작의 다양한 지형에서 실험을 이어가는 ‘살아있는 창작의 공간’으로 조성된 성북구립미술관의 첫 번째 분관입니다.

‘성북 N 작가공모’의 N은 new, next, numerous 등 성북예술창작터의 진취적 지향성을 담고있는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창작자를 지원하는 프로젝트이며, 지역의 의미를 확장해 가는 실험적 지역 예술 플랫폼입니다. 올해는 개관 10주년을 맞아 여성과 기술 테마의 NW project를 신설했으며, 성북 N 작가공모 ‘협력공간 매칭프로젝트: N-Networking’과 토탈미술관 월요살롱 매칭프로젝트 첫 번째 순서로 NW 분야 선정작가들이 함께하게 됩니다.

‘협력공간 매칭프로젝트: N-Networking’는 2022년 신설된 성북 N 작가공모 연계프로젝트로서 영리와 비영리, 성북과 타 지역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또 다른 실험으로 지속하고 있습니다.

NW project 작가/팀
– Artists 이해련, 우먼즈랩탑(연성, 정아사란, 지희경)
– Curator 김소원

*월요살롱 2부에서는 자유주제 분야에 선정된 조이솝, 최유정 작가 및 장은하 리뷰어와 함께 할 예정입니다.

 

프로그램 정보

이런 분들이 함께하면 좋아요!

아티스트의 이야기를 세밀하고 섬세하게 만나고 싶은 분
숏폼보다는 롱폼의 콘텐츠를 선호하는 분
예술적인 공간에서 함께하는 심미적인 경험을 즐기는 분
– 월요일 오후에 할 수 있는 최고의 사치를 누리고 싶은 분

 

일정 및 장소

– 일시 : 2023년 10월 16일(월) 오후 3시-6시
– 장소 : 토탈미술관(서울 종로구 평창32길 8)
– 진행방식 : 오프라인(월요살롱은 사전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입니다.)

예술가 소개

김소원, 이해련, 우먼즈랩탑(연성, 정아사란, 지희경)

 

김소원

김소원은 현재 성북문화재단 성북구립미술관 학예사로 재직 중이며, 서양미술사학과 석사 졸업 및 문화예술경영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다양한 주제전과 성북 N 작가공모 및 에버레버 아트 프로젝트와 같은 창작자 지원 프로젝트 등을 기획해 오고 있으며, 미술비평, 연구 기반의 활동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여러 문화예술계 종사자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새로운 협력 프로젝트를 창안하는 등 패러다임 전환적 실천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어린이와 어른에 경계를 두지 않는 시의성 있는 주제의 전시를 비롯하여 미술, 전통음악, 무용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울러 문인을 조명하는 전시 등을 기획했다.

instagram. 성북예술창작터
web. 성북예술창작터

 

 

이해련

이해련은 기술 발전의 진보와 당위성에 대한 의구심을 바탕으로 입체·설치 작업을 한다. 소위 ‘스마트’한 기술이 대변하고 있는 가치에 대한 의문을 유사-제품 형태의 작업을 통해 전개하고 있다. 최근 첨단기기에 길들여진 행동양식으로부터의 탈출을 제안하는 Exodus 시리즈를 선보였다. 주요 전시로는 개인전 《Exodus》(을지로 OF, 서울, 2023), 《This is Smart Cutter!》(문래예술공장 M30, 서울, 2021), 《Summer Cheer》(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20), 단체전 《깨끗한 석판 Tabula Rasa》 (문래예술공장 M30, 서울, 2023), 《어느정도 예술공동체: 부기우기 미술관》 (울산시립미술관, 울산, 2022), 《아트커넥톰 ArtConnectome》 (화성ict생활문화센터, 화성, 2022)를 선보였다.

instagram. @ryunderstand 
web. leehaeryun.com

 

 

우먼즈랩탑(연성) 

네덜란드의 로테르담, 헤이그와 창원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연성(Yeon Sung)은 예술 기반 연구 방법론 (Artistic Research)을 경유한 동시대 탈식민주의 운동의 유의미한 방향성을 모색한다. 특히 접근 가능한 기술을 사용한 DIY-포로토타입핑, 필름메이킹, 글쓰기의 실천을 통해 비-인간 물질이 화자가 된 실재와 상징의 서사를 재구축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물질 “구리”와 “먼지”를 주체로 유럽과 아시아의 구/신식민지적 토양의 “장소성”과 과거 식민사부터 현재의 환경 위기로 이어지는 “시간성”을 횡단하는 예술 실험을 발전 시켜 나가고 있다.

instagram. @studio.yeon.sung
web. https://yeon-sung.com/

 


우먼즈랩탑(정아사란)

정아사란은 디지털 가상세계를 지각하는 방식에 관심이 많으며 온라인과 같은 미디어 매체의 유동성과 휘발성을 주목하고, 디지털 매체가 중심이 된 미디어 환경 속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설치, 조각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통해 다룬다. 최근 작업의 경향은 유동하는 비물질 디지털 세계의 양상을 흐르는 액체의 성질과 연결하여 표현하는 작품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활동으로는 개인전《무거운 마음과 얇은 땅》(2022, 온수공간), 단체전으로는《The other Face of Material》(2023, 서정아트 강남), 《채널-입자가 파동이 되는 순간》(2022, 창원조각비엔날레) 등이 있다.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조소과 석사를 졸업(2021)하고 현재 동 대학원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instagram. @asaran_jeong
web. www.asaran.art

 

 

우먼즈랩탑(지희경)

지희경은 이동하고 관찰하고 경험하면서 만난 사건과 사물, 사람과 공간 등 몸을 통해 수행(performing)하며 얻어진 감각을 인식하고 이를 시청각으로 전달하는 영상을 만든다. 카메라의 눈을 통해 보는 대상과 스스로의 몸을 통해 경험하는 대상의 차이를 인지하고 타인의 고통을 볼거리와 즐길거리로 소비하고 있지 않은지 질문하며 일상적 이미지를 수집한다. 피사체-이미지 주변 안으로 들어가 물리적 몸을 부딪고 맞대고 밀어내는 등의 행위를 통해 이미지가 지닌 다양한 해석의 범주를 실험한다.

instagram. @locked_iam
web. https://heekyungji.cargo.site/

 

커뮤니티

커뮤니티 글이 없습니다.


 

리뷰

아직 리뷰가 없습니다.

“토탈미술관 월요살롱”의 첫 리뷰를 남겨주세요

토탈미술관 월요살롱

김소원, 이해련, 우먼즈랩탑(연성, 정아사란, 지희경)

Free